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박재홍4

울고 넘는 박달재,가사,박재홍 울고넘는 박달재 작사 반야월 작곡 김교성 편곡 김교성 노래 박재홍 발표 1950년 박재홍이 부르는 곡해설 광복이후 국내에서 최초로 고려레코드에서 음반을 만든다. 당시만 해도 레코드는 일본으로 가서 취입했다. 박재홍의 와 백설희의 데뷔곡 이 들어가 있다. 1940년대는 트로트의 전성기였다. 하지만 광복 전후 음반시작은 완전히 얼어 붙었다. 일제의 패망은 일제가 가지고 있던 음반 기술을 상실한 것이기도 했다. 일본 기술에 매달리던 당시 음반 제작 자체가 어려워진 것이다. 찬탁과 반탁의 이념 갈등 속에서 예술인들은 갈팡질팡했다. 그러다 1948년 박재홍이 와 1949년 과 가 발표된다. 는 충남 제천시 봉야읍과 백운면을 잇는 고갯길이다. 천등산은 충북 제천과 충주시를 경계에 있는 산이다. 산과 고갯길이 달라 .. 2021. 6. 24.
4.19 행진곡, 가사, 박재홍, 1960 4.19 행진곡 작사 강남풍 작곡 김부해 노래 박재홍.안정해 이 노래는 1960년에 발매된 신신가요앨범 NO.1(국토 건설의 노래)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미얀마 사태를 보니 우리나라의 민주화가 갑자기 찾아온 것이 아님을 다시금 깨닫는다. 가사 1. 학도는 용감하다 거룩한 피를 흘러 민주주의 만방에 헌양 하였제 독재는 물러가라 외치는 고함소리 방방곡곡 천지를 진동하였네 2. 쌓이고 쌓인 울분 드디어 터트렸네 젊은 세대 일꾼은 학도들이다 부정은 물러가라 외치는 고함소리 썩은 잔재 뿌리채 뽑아 버렸네 3. 나가자 씩씩하게 깃발을 휘날리며 민주주의 우방에 함께 뭉치자 폭력은 물러가라 외치는 고함소리 공산당도 뿌리채 뽑아 버리자 학도는 당시 의거를 주동했던 고등학생들을 말한다. 지금의 고등학생들과 비교하면 상상.. 2021. 5. 2.
비 나리는 삼랑진 박재홍 1954 비 나리는 삼랑진 작사 반야월 작곡 이재호 노래 박재홍 발표 1954년 회사 서라벌레크드 전쟁 후인 1954년에 발표된 노래지만 가사는 전쟁 중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고향을 떠나 전장으로 나가는 젊은 청년의 이야기다. 아마도 전쟁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아들을 그리워하는 어머니들의 마음을 대변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래가 아닌가 싶다. 삼랑진은 부산과 서울을 오가는 경부선에 자리한다. 현재도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에 자리하고 있다. 수년 전에 양산에 거주할 때 종종 갔는데 의외로 역이 작고 초라했다. 이름에 걸맞지 않는 작은 역이라 약간 놀랐다. 실제로 삼랑진은 많은 사람들이 빠져 나가고 소수의 사람들만 거주한다. 지근에 밀양이 위치하고 있다. 삼랑진에 몇 번을 갔는데 삼랑진역을 .. 2021. 4. 28.
물방아 도는 내력, 박재홍, 1953년 물방아 도는 내력 작사 손로원 작곡 이재호 노래 박재홍 벌표 1953년 회사 도미도레코드사 1953년에 발표된 이 노래는 참으로 기이하다. 1953년 한국전쟁이 막을 내리던 때, 즉 전쟁으로 황폐해질 때이다. 그런데 의외로 밝고 경쾌한 노래이다. 가사를 보면 전원적이다. 부와 명예도 싫고 고향으로 돌아가 길쌈 메고 새끼 꼬며 평범하게 살고 싶어한다. 서울도 싫어 고향으로 돌아가 봄이면 버들피리 불고 싶다 말한다. 그런데 '물방아 도는 내력 알아 보련다'는 무슨 뜻일까? 1절에도 '새들이 우는 속을 알아보련다' 3절에는 '뻐꾹새 우는 곡절 알아보련다' 말하고 있다. 가사 벼슬도 싫다마는 명예도 싫어 정든 땅 언덕 위에 초가집 짓고 낮이면 밭에 나가 길쌈을 매고 밤이면 사랑방에 새끼 꼬면서 새들이 우는 속을.. 2021. 4. 27.
반응형